티스토리 뷰

경제

구리 관련주 TOP 4

편식왕백종원 2020. 12. 6. 23:10
반응형

최근 구리가격이 톤당 7,700원 달러대에 도달하여 2013년 이후 7년만에 최고수준으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최근 구리 가격의 상승원인을 먼저 짚어보자면 4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코로나 이후 중국의 경기회복 가능성에 따른 수요 증가 예상

- 미대선 이후 경기회복을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 구리 채굴 광산의 노후화에 따른 비용 증가

- 달러 약세로 구리 가치 상승 예상에 따른 투자처

그렇다면 구리값의 상승에 따라 수혜를 받는 국내 주식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S

  • LS그룹의 지주회사로서 국내 구리 및 원자재 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기업입니다. 

  • 국내 구리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LS nikko동제련의 모회사이며, LS그룹 계열사들은 모두 구리를 핵심원료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구리값에 따른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습니다.

  • 비상장 자회사인 LS일레트릭의 실적이 부진에서 개선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신재생 에너지 투자에 따른 풍력-해저케이블 수주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해저케이블 생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LS전선만 가능하고, 지난 10월 기준 해저케이블 수주 잔량은 1조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LS는 2020년 연결기준 매출 10조4460억원, 영업이익 4,320억원을 낼 것으로 전망, 전년대비 각가 2.6%, 22.7%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서원

  • '동합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0년 연결누적 매출액 기준으로 동가공 업체 중 국내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비철금속 산업은 산업전반에 필수적인 기초 소재를 제공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전기, 전자, 선박, 반도체 등 널리이용 되고 있어 구리 상승으로 인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이낙연 관련주로 정치테마주에 묶여있다보니 대선을 앞두고 구리산업의 가치보다 정치테마주로 더 엮이다보니 이낙연의 지지도와 이슈에 따라 주가의 움직임이 나타는 경향이 있습니다. 

풍산

  • 동 및 동합금 소재와 가공품을 제조, 판매하는 신동산업 부분과 함께 각종 탄약류를 생산하는 방산산업을 주요 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증권가에서는 최근 10분기 내 가장 높은 수준의 실적을 거둘 것이라고 판단, 지속적인 주가 상승을 보이고 있고, 앞으로도 같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최근 미국 등을 중심으로 탄약 수출이 증가한 것이 실적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풍산의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2조6006억원, 1100억원으로 내다보고 있어, 작년대비 6%, 168%상승한 수치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구산업


  • 산업용 동판 생산으로, 국내 동판 시장규모는 20만5000톤으로 국내 점유율이 풍산에 이어 2위로 약 17%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 2018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버스바용 동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내연기관차 대비 구리의 소요가 3배 차이)

  • 작년 전기차 부품 소재 매출비중은 약 7%(147억원)이고 전기차 시장 성장에 맞춰 전기차 부품 소재 매출의 비중을 높일 예정이다.

  • 주력 매출처는 역시 자동차 부품회사로 지난해 전체 매출액의 29%(584억원)이 현대자동차 등 주요 자동차 1,2차 벤더 발생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 구리를 원재료로 하여 가공, 제조, 판매 등을 하는 기업들의 대한 기업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구리를 '구리박사'라는 별명을 가진 원재료로 구리의 수요량 변화를 통해 글로벌 경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많은 증권가 및 경제채널에서 중국의 빠른 경제 회복에 따른 원자재 수요 증가에 대한 뉴스를 많이 접하셨을 것입니다.

중국과 미국의 막대한 구리 수요 증가는 곧 구리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불러일으킬 것이고 전기차와 풍력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에 따라 다시 한 번 수요는 폭팔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최근에 이미 구리가격 상승으로 인해 구리 관련주들이 많은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러한 현상은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잡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제일은행 외화통장 개설하기  (0) 2021.01.02
LG유플러스 주가  (0) 2020.12.19
원전 관련주 TOP4  (0) 2020.12.04
수소에너지 관련주 정리  (0) 2020.12.03
카카오페이 송금받기 취소  (0) 2020.12.01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